지체장애 학생은 비록 장애는 가지고 있을지라도 일반학생과 같은 교육적 요구를 가지고 있으므로 개인의 특수성과 개인차를 고려하여 신체적 장애를 최대한 경감시키고 잠재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체장애 학생의 신체장애 정도와 이동 능력, 장애로 인한 다른 감각 능력의 손상 정도, 의사소통 능력의 정도, 사회·정서적 발달의 특성에 대해 주도면밀하게 파악하여 지원해야 한다.

경험과 개념

(1)행동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과 접촉하는 기회가 적고, 접촉하는 사람의 수도 적으며, 사물의 경험이나 견문의 폭도 협소하다.
(2)언어적 경험, 사회적 경험 및 개념이 일반학생에 비해 떨어진다.

학업성취

(1)주변사람의 도움에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참여도가 낮다.
(2)경험과 생활행동이 제한되어 학습 준비가 지체되고, 수반장애가 있을 경우 학업 성취가 낮아지게 된다.

정의적 영역의 특성

(1)지체의 부자유로 인한 욕구불만이나 부적응이 야기되며 성격 발달에 결함을 나타낸다.
(2)지체장애 학생의 행동 특성으로 고집성, 주의력 산만, 충동성이 있고, 심리적 특성으로는 정서불안, 과민, 열등감, 자신감 부족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지체장애 학생의 자아개념은 부정적, 도피적 행동 경향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안정성이 없고, 자기 방어적이고 경계심이 많은 편이다.

Q&A

□ 학습매체를 활용시 어떤 지원이 필요한가요?

학습매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높낮이가 조절되어야 합니다. 또한 운동기능의 수행이나 조절이 힘든 지체장애 학생의 경우 조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매체 이용을 위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 지체장애 학생의 발음이 부정확한데 어떻게 대화해야 할까요?

조음기관의 운동 및 조절에 이상이 있기 때문에 발음이 부정확하고, 얼굴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될 수 있고, 의도치 않은 운동이 수반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지체장애 학생이 긴장하지 않고, 편안하게 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고, 자신이 이해한 만큼 지체장애학생에게 되풀이 하여 말함으로써 의도를 확인합니다.

□ 지필고사의 경우 어떤 도움이 필요할까요?

다른 사람에 비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지필을 하지 못하는 경우, 대체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대필자를 통한 시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휠체어를 타고 가는 지체장애학생을 보게 되면 어떤 지원을 해주어야 하나요?

“도와드릴까요?" 하고 도움이 필요한지를 물어봅니다. 자기 생각대로 이런 도움이 필요할 거라고 짐작하여 돕는 것은 장애학생에게 불편하고, 신경쓰이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 휠체어가 계단을 오르내릴 경우엔 어떻게 도와야 하나요?

되도록 경사로와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용하거나 없을 경우 계단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휠체어가 계단을 오르내릴 때는 2~3명이 호흡을 맞추어 천천히 휠체어를 들어야 합니다.

□ 전동휠체어의 배터리가 소모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지체장애학생을 발견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의사를 확인한 후 휠체어를 수동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물어 수동으로 바꾼 다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전기 콘센트가 있는 곳까지 휠체어를 밀어줍니다.

□ 지체장애 학생의 발음이 부정확한데 어떻게 대화해야 할까요?

조음기관의 운동 및 조절에 이상이 있기 때문에 발음이 부정확하고, 얼굴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될 수 있고, 의도치 않은 운동이 수반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지체장애 학생이 긴장하지 않고, 편안하게 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고, 자신이 이해한 만큼 지체장애학생에게 되풀이 하여 말함으로써 의도를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