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는 난청부터 농까지를 포함해서 매우 다양한 정도로 나타난다. 난청은 대개 청각을 통해 어느 정도 말을 들을 수 있는 경우이며, 농은 시각적인 방법으로 타인의 언어를 이해해야 한다. 난청은 어휘력의 부족이나 문법상의 문제를 보이나, 일상적인 상호작용에는 무리가 없다. 한편, 농은 구어사용 능력에 제한을 받는다.
말과 언어의 발달
(1) 일반적인 특징: 청력수준, 청각장애가 발생한 시기, 지적능력, 환경 등이 중요하며 일반아동에 비해 개인차가 크다.
(2) 음운발달의 특성: 자신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곤란하여 발성 및 발화에 문제가 나타나고, 청각적으로 변별하고, 조음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또한
(3) 어휘발달의 특성: 추상적인 단어를 습득하고, 문장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4) 문어발달과 특성: 문장 이해 능력은 건청 아동과 유사하나, 발달속도가 느리고, 청각장애아동만의 독특한 특성이 나타난다.
학업성취
(1) 수화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청각장애 아동들은 학습에 관련된 정보를 충분히 입수하지 못한다.
(2)수화통역사를 제공해주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설명을 듣지 못한다.
사회·정서적 특징
(1) 의사소통의 어려움 때문에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가 적어지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2) 연령이 증가할수록 성숙도의 차이가 커진다.
(3) 부정적인 자아감, 빈약한 사회 능력, 자기 정체성 문제에 직면한다.
Q&A
□ 청각장애학생에게 적절한 교육환경은 어떠한 곳인가요?
학습시 시각적인 도움과 충분한 설명이 제공되어야 하며, 학생의 좌석은 소음으로부터 멀고, 교사를 정면에서 바라 볼 수 있는 자리배치가 바람직합니다. 보청기를 착용하면 말소리 뿐만 아니라 모든 소리가 다 크게 들리기 때문에 교실 안팎의 소음을 가능한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청각장애학생과 대화를 나눌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입모양을 크게 하여 천천히 말하거나, 글로 쓰기, 혹은 수화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합니다. 듣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함부로 말하거나 반말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껌을 씹거나 입을 가리는 행동은 하지 않아야 합니다.
□ 청각장애학생에게 말을 걸때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요?
가볍게 어깨를 두드리어 서로 마주보고 대화를 해야 합니다. 서로의 표정과 입모양을 볼 수 있도록 적절한 밝기, 시끄럽지 않은 환경 등이 필요합니다.
□ 청각장애학생과 수화를 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 무엇일까요?
수화 동작 범위를 가슴 높이에서 양어깨까지를 한계점으로 하고, 절도 있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